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문화유산 시원하게 즐기는 방법 세가지

낮에는 실내 전시, 밤에는 야간 관람, 무더위 쉼터 활용까지. 더위 속 문화유산 시원하게 즐기기.

2025.08.12 정책기자단 박성호
글자크기 설정
목록

궁궐, 왕릉 등 전통 국가유산은 사계절 내내 아름답고 계절마다 다른 매력을 선사한다.

다만 여름이나 겨울처럼 야외 활동이 어려운 계절에는 관람이 쉽지 않다.

특히 올해처럼 역대급 폭염이 이어질 경우 야외 관람은 한층 어렵다.

무더위에 지친 관람객들을 위해 국가유산청은 여름철에도 문화유산을 즐길 수 있는 세 가지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햇볕이 가장 뜨거운 시간대에 관람하는 관광객을 위해 무더위 쉼터를 설치해 관람 중간 쉬어갈 틈을 제공했다.

이어 더위에 힘든 관람객을 위해 국립고궁박물관 등 실내 관람을 추천하고 더위가 한층 가신 저녁 야간 개장 관람을 권장했다.

기자는 경복궁, 국립고궁박물관, 덕수궁에 방문해 무더위 속 문화유산 관람에 나섰다.

경복궁 입구, 사람들이 무더위에 지쳐있다.
경복궁 입구, 사람들이 무더위에 지쳐있다.

경복궁에 방문한 시간은 오후 2시였다.

한낮의 뜨거운 햇볕에 조금만 걸어도 땀이 주룩주룩 흘렀다.

관광객들이 꽤 있었지만 다들 더위에 지쳐 양산을 쓰거나 그늘에 있었다.

한복을 입은 외국인들도 더위에 놀라며 그늘 안에서만 사진을 찍었다.

국립고궁박물관 유물들.
국립고궁박물관 유물들.

◆ 국립고궁박물관 실내 전시 

기자 역시 더운 시간에 관람은 피하고자 경복궁에 인접한 국립고궁박물관을 먼저 방문했다.

시원한 실내에서 다양한 문화유산들을 관람할 수 있었다.

3개 층, 6개 전시실을 관람하며 왕실 문화를 체험했다.

조선의 과학 문화, 국왕의 삶과 왕실 생활, 궁중 벽화와 왕실 의례 등 조선시대 전반을 아우르는 다양한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었다.

중간에 앉아서 쉴 수 있는 카페도 있어 관람하다 휴식을 취해도 좋았다.

경복궁 내 경회루.
경복궁 내 경회루.

더운 시간대를 피해 관람을 마치고 오후 5시에 본격적으로 경복궁 관람을 시작했다.

조선왕조 제일의 법궁답게 아름답고 웅장한 건축물들이 인상적이었다.

경회루 근처 무더위 쉼터.
경회루 근처 무더위 쉼터.
실내 대기 장소도 있어 더위를 피하기 좋다.
실내 대기 장소도 있어 더위를 피하기 좋다.

◆ 경회루 무더위 쉼터

드넓은 경복궁을 돌아다니다 보니 다리도 아프고 물도 마실 휴식 공간이 필요했다.

마침 경회루 쪽에 무더위 쉼터가 있어 찾아갔다.

쉼터에는 앉을 수 있는 의자와 물, 선풍기, 그리고 의료진이 대기하고 있었다.

선풍기 바람을 쐬며 더위를 식히니 다시 돌아다닐 힘이 났다.

다른 관람객들도 쉼터 쪽을 들렀다가 가는 경우가 많았다.

다른 쪽 무더위 쉼터에는 온열질환자 대기 장소도 마련되어 있어 에어컨과 함께 쉬기 좋았다.

야간에 방문한 덕수궁.
야간에 방문한 덕수궁.

◆ 덕수궁 야간 관람

낮에 보는 궁궐도 매력적이지만 밤의 궁궐은 또 다른 아름다움을 지녔다.

야간 관람이 가능한 창경궁과 덕수궁은 매일 오후 9시까지 관람할 수 있다.

기자는 노을과 함께 관람하기 위해 오후 7시에 덕수궁을 방문했다.

더위가 한풀 꺾인 밤에 방문해서 선선한 날씨를 즐길 수 있었다.

화창한 낮과 달리 노을이 지며 어두워지는 궁궐은 낮과 달리 색다른 분위기를 자아냈다.

덕수궁에도 무더위 쉼터가 있다.
덕수궁에도 무더위 쉼터가 있다.

또한 야간에는 낮과 달리 조명이 켜져 있어 궁궐 세부를 더 잘 감상할 수 있었다.

덕수궁에도 무더위 쉼터가 마련돼 있다.

경복궁이 천막과 의자를 설치한 것과 달리, 덕수궁은 기존 누각을 쉼터로 활용했다.

무더운 여름에도 쉼터, 실내 전시, 야간 관람을 활용하면 문화유산을 충분히 즐길 수 있다.

국가유산을 방문할 관람객들이라면 세 가지를 꼭 참고해 무더운 여름 슬기로운 관광 즐기길 권한다.

☞ (보도자료) 폭염 피하며 안전하게 즐기는 국가유산


박성호
정책기자단|박성호
kevinrevo1234@gmail.com
접근하기 쉽고 누구나 함께할 수 있는 정책을 소개하겠습니다.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
저작권법 제37조
제37조(출처의 명시)
① 이 관에 따라 저작물을 이용하는 자는 그 출처를 명시하여야 한다. 다만, 제26조, 제29조부터 제32조까지,
제34조제35조의2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11. 12. 2.>
② 출처의 명시는 저작물의 이용 상황에 따라 합리적이라고 인정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저작자의 실명
또는 이명이 표시된 저작물인 경우에는 그 실명 또는 이명을 명시하여야 한다.
제138조
제138조(벌칙)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2011. 12. 2.>
1. 제35조제4항을 위반한 자
2. 제37조(제87조 및 제94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위반하여 출처를 명시하지 아니한 자
3. 제58조제3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재산권자의 표지를 하지 아니한 자
4. 제58조의2제2항(제63조의2, 제88조 및 제96조에 따라 준용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위반하여 저작자에게 알리지 아니한 자
5. 제105조제1항에 따른 신고를 하지 아니하고 저작권대리중개업을 하거나, 제109조제2항에 따른 영업의 폐쇄명령을 받고 계속 그 영업을 한 자 [제목개정 2011. 12. 2.]
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이전다음기사

다음우리 도서관에는 글쓰기 알려 주는 '작가'가 있다

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히단 배너 영역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저출생 극복 나도 아이도 행복한 세상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MY 맞춤뉴스 AI 추천

My 맞춤뉴스 더보기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오늘의 멀티미디어

정책포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