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영역
□ 이근원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장(이하 국유단장)은 현지시간으로 3일부터 10일까지 미국 워싱턴 D.C. 및 뉴저지주, 버지니아주 등지에서 한미 유해발굴 협력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쳤습니다.
□ 지난 6일(현지시간) 한미 유해발굴 협력 정례회의가 미국 워싱턴 D.C. 미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efense POW/MIA Accounting Agency, 이하 DPAA) 본부에서 열렸습니다.
ㅇ한미 유해발굴 협력 정례회의는 2011년 국유단과 미 DPAA가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이후 매년 주기적으로 열리고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화상 또는 유선으로 실시한 2019∼2022년을 제외하고는 양 기관의 대표가 직접 만나 한미 6·25전사자 유해 상호 봉환 등을 주요 협력 과제를 논의합니다.
ㅇ이번 회의에 참석한 이근원 국유단장과 켈리 맥케그(Kelly McKeague) 미 DPAA 국장 등은 자유를 수호하기 위해 희생한 양국의 6·25전쟁 전사자 유해발굴 및 신원확인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재확인했으며, 유해발굴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습니다.
□ 주요 의제는 이행약정(IA) 개정, 한미 6·25전사자 유해 상호봉환행사(이하 상호봉환행사) 논의, 튀르키예 군 유해 인수 등이었습니다.
ㅇ먼저, 양측은 2018년에 체결한 「상호 교류 및 유해발굴 협력을 위한 이행약정(IA)」에 대해 지난해 회의 간 논의했었던 △양국 전사자 유해 조사 및 발굴 관련 상호 협조 △공동 법의학 감식 등 신원확인 분야 교류 △상호 교환 방문을 통한 연례회의 개최 관련 문구·수치 구체화 대한 개정안을 확정하고 양 기관장이 문건에 서명했습니다.
ㅇ이어서 상호봉환행사의 경우 현재 미국에서 한국으로 봉환될 유해는 7구, 한국에서 미국으로 봉환될 유해는 3구입니다. 이와 관련해 주관, 시기, 방안 등을 논의한 것입니다. 시기는 6·25전쟁 전사자임을 고려해 6월 호국보훈의 달, 유엔군 참전의 날 등이 거론됐습니다. 지난 여섯 차례(2012·2016·2018·2020·2021·2023년)의 상호봉환행사 중 2016년을 제외하고 모두 대통령 주관으로 시행했다는 점 등 행사의 격을 높이고 국가를 위해 헌신한 호국영웅에게 최고의 예우를 갖추기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습니다.
ㅇ튀르키예 군 유해 인수는 8월 중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해당 유해는 6·25전쟁에 참전했다가 전사한 유엔군으로, 현재는 미 DPAA에서 보관하고 있습니다. 유해는 총 4구로 1996∼2005년 북한 지역에서 북미가 공동으로 발굴한 유해 3구(JRO, Joint Recovery Operation)와 1984년부터 하와이 국립묘지 재개장 과정에서 발굴된 무명용사 유해 1구(PB, Punchbowl)입니다. 미 DPAA와 유엔군사령부를 거쳐 국유단이 인수했다가 11월 재한유엔기념공원 안장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 그밖에 이근원 국유단장은 미국 참전용사 증언 청취, 전사자 유해를 찾기 위한 대한한국 국방부의 노력 및 성과 발표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습니다.
ㅇ4일(현지시간)에는 미 뉴저지주 한국전참전용사협회(KWVA, Korea War Veterans Association)를 방문해 다르벤지오(Darbenzio) 퇴역 하사 등 4명의 미군 참전용사를 만나 6·25전쟁 당시 전사·실종자 관련 증언을 청취하고, 이역만리 타국을 위한 헌신에 대해 감사와 위로를 전했습니다.
ㅇ7일(현지시간) 한미 유해발굴 협력 정례회의 다음 날에는 미 DPAA가 주최하는 KCW에 참석했습니다. 유가족에게 한반도 내 미군 전사·실종자 유해발굴사업의 진행 경과, 한미 6·25전사자 공동 유해발굴 성과 등을 설명했습니다.
ㅇ한편, KCW 행사장에서 켈리 맥케그 국장은 이근원 단장에게 민간부문 공로훈장을 수여했습니다. 이 훈장은 미 DPAA에서 민간인에게 수여할 수 있는 가장 높은 등급의 메달입니다. 지난 3여 년간 양국의 한층 발전된 협력관계 구축에 기여한 것에 대한 감사가 담겨 있습니다.
□ 이번 정례회의를 추진한 이근원 국유단장은 "국유단은 미 DPAA와 더욱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해 나가면서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헌신했던 모든 양국의 6·25전쟁 전사자분들을 하루빨리 찾아 재회를 간절히 염원하는 유가족에게 모시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라고 밝혔습니다.
□ 6·25전사자(호국영웅)의 신원확인을 위해 국민 여러분의 동참이 절실합니다.
ㅇ전국 어디에서나 가능한 유전자 시료 채취는 6·25전사자의 유가족으로서 전사자의 친·외가를 포함해 8촌까지 신청 가능합니다. 제공하신 유전자 정보를 통해 전사자의 신원이 확인될 경우 1,000만 원의 포상금이 지급됩니다.
ㅇ6·25전쟁 후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참전용사와 유가족의 고령화 등으로 인해 유가족 찾기는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발굴된 유해의 신원확인을 위한 '시간과의 싸움'을 하는 상황인 만큼,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관심과 동참이 절실합니다.
ㅇ국유단 탐문관들은 각지에 계신 유가족을 먼저 찾아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유전자 시료 채취를 희망하고 계시지만 거동 불편하거나 생계 등으로 방문이 어려우신 유가족께서는 대표번호 1577-5625(오! 6·25)로 언제든 연락 주시면 직접 찾아뵙고 유전자 시료를 채취해 드립니다. 당신(YOU)도 '유(遺)가족'일 수 있습니다. <끝>
□ 지난 6일(현지시간) 한미 유해발굴 협력 정례회의가 미국 워싱턴 D.C. 미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Defense POW/MIA Accounting Agency, 이하 DPAA) 본부에서 열렸습니다.
ㅇ한미 유해발굴 협력 정례회의는 2011년 국유단과 미 DPAA가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이후 매년 주기적으로 열리고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화상 또는 유선으로 실시한 2019∼2022년을 제외하고는 양 기관의 대표가 직접 만나 한미 6·25전사자 유해 상호 봉환 등을 주요 협력 과제를 논의합니다.
ㅇ이번 회의에 참석한 이근원 국유단장과 켈리 맥케그(Kelly McKeague) 미 DPAA 국장 등은 자유를 수호하기 위해 희생한 양국의 6·25전쟁 전사자 유해발굴 및 신원확인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재확인했으며, 유해발굴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습니다.
□ 주요 의제는 이행약정(IA) 개정, 한미 6·25전사자 유해 상호봉환행사(이하 상호봉환행사) 논의, 튀르키예 군 유해 인수 등이었습니다.
ㅇ먼저, 양측은 2018년에 체결한 「상호 교류 및 유해발굴 협력을 위한 이행약정(IA)」에 대해 지난해 회의 간 논의했었던 △양국 전사자 유해 조사 및 발굴 관련 상호 협조 △공동 법의학 감식 등 신원확인 분야 교류 △상호 교환 방문을 통한 연례회의 개최 관련 문구·수치 구체화 대한 개정안을 확정하고 양 기관장이 문건에 서명했습니다.
ㅇ이어서 상호봉환행사의 경우 현재 미국에서 한국으로 봉환될 유해는 7구, 한국에서 미국으로 봉환될 유해는 3구입니다. 이와 관련해 주관, 시기, 방안 등을 논의한 것입니다. 시기는 6·25전쟁 전사자임을 고려해 6월 호국보훈의 달, 유엔군 참전의 날 등이 거론됐습니다. 지난 여섯 차례(2012·2016·2018·2020·2021·2023년)의 상호봉환행사 중 2016년을 제외하고 모두 대통령 주관으로 시행했다는 점 등 행사의 격을 높이고 국가를 위해 헌신한 호국영웅에게 최고의 예우를 갖추기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습니다.
ㅇ튀르키예 군 유해 인수는 8월 중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해당 유해는 6·25전쟁에 참전했다가 전사한 유엔군으로, 현재는 미 DPAA에서 보관하고 있습니다. 유해는 총 4구로 1996∼2005년 북한 지역에서 북미가 공동으로 발굴한 유해 3구(JRO, Joint Recovery Operation)와 1984년부터 하와이 국립묘지 재개장 과정에서 발굴된 무명용사 유해 1구(PB, Punchbowl)입니다. 미 DPAA와 유엔군사령부를 거쳐 국유단이 인수했다가 11월 재한유엔기념공원 안장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 그밖에 이근원 국유단장은 미국 참전용사 증언 청취, 전사자 유해를 찾기 위한 대한한국 국방부의 노력 및 성과 발표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했습니다.
ㅇ4일(현지시간)에는 미 뉴저지주 한국전참전용사협회(KWVA, Korea War Veterans Association)를 방문해 다르벤지오(Darbenzio) 퇴역 하사 등 4명의 미군 참전용사를 만나 6·25전쟁 당시 전사·실종자 관련 증언을 청취하고, 이역만리 타국을 위한 헌신에 대해 감사와 위로를 전했습니다.
ㅇ7일(현지시간) 한미 유해발굴 협력 정례회의 다음 날에는 미 DPAA가 주최하는 KCW에 참석했습니다. 유가족에게 한반도 내 미군 전사·실종자 유해발굴사업의 진행 경과, 한미 6·25전사자 공동 유해발굴 성과 등을 설명했습니다.
ㅇ한편, KCW 행사장에서 켈리 맥케그 국장은 이근원 단장에게 민간부문 공로훈장을 수여했습니다. 이 훈장은 미 DPAA에서 민간인에게 수여할 수 있는 가장 높은 등급의 메달입니다. 지난 3여 년간 양국의 한층 발전된 협력관계 구축에 기여한 것에 대한 감사가 담겨 있습니다.
□ 이번 정례회의를 추진한 이근원 국유단장은 "국유단은 미 DPAA와 더욱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해 나가면서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헌신했던 모든 양국의 6·25전쟁 전사자분들을 하루빨리 찾아 재회를 간절히 염원하는 유가족에게 모시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라고 밝혔습니다.
□ 6·25전사자(호국영웅)의 신원확인을 위해 국민 여러분의 동참이 절실합니다.
ㅇ전국 어디에서나 가능한 유전자 시료 채취는 6·25전사자의 유가족으로서 전사자의 친·외가를 포함해 8촌까지 신청 가능합니다. 제공하신 유전자 정보를 통해 전사자의 신원이 확인될 경우 1,000만 원의 포상금이 지급됩니다.
ㅇ6·25전쟁 후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참전용사와 유가족의 고령화 등으로 인해 유가족 찾기는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발굴된 유해의 신원확인을 위한 '시간과의 싸움'을 하는 상황인 만큼,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관심과 동참이 절실합니다.
ㅇ국유단 탐문관들은 각지에 계신 유가족을 먼저 찾아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유전자 시료 채취를 희망하고 계시지만 거동 불편하거나 생계 등으로 방문이 어려우신 유가족께서는 대표번호 1577-5625(오! 6·25)로 언제든 연락 주시면 직접 찾아뵙고 유전자 시료를 채취해 드립니다. 당신(YOU)도 '유(遺)가족'일 수 있습니다. <끝>
“이 자료는 국방부의 보도자료를 전재하여 제공함을 알려드립니다.”
- 공공누리 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이용이 가능합니다. (텍스트)
- 단, 사진, 이미지, 일러스트, 동영상 등의 일부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저작권 전부를 보유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반드시 해당 저작권자의 허락을 받으셔야 합니다.
정책브리핑 공공누리 담당자 안내
닫기
문의처 : 문화체육관광부 정책포털과
뉴스 |
|
---|---|
멀티미디어 |
|
브리핑룸 |
|
정책자료 |
|
정부기관 SNS |
|
※ 브리핑룸 보도자료는 각 부·처·기관으로부터 연계로 자동유입되는 자료로 보도자료에 포함된 연락처로 문의
※ 전문자료와 전자책의 이용은 각 자료를 발간한 해당 부처로 문의
이전다음기사
다음기사피서지 바가지요금 OUT! 생활물가 안정 ON!정책브리핑 게시물 운영원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게시물은 삭제 또는 계정이 차단 될 수 있습니다.
- 1. 타인의 메일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정보 또는 해당 정보를 게재하는 경우
- 2. 확인되지 않은 내용으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시키는 경우
- 3.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을 유포하거나 링크시키는 경우
- 4. 욕설 및 비속어의 사용 및 특정 인종, 성별, 지역 또는 특정한 정치적 견해를 비하하는 용어를 게시하는 경우
- 5. 불법복제, 바이러스, 해킹 등을 조장하는 내용인 경우
- 6.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광고 또는 특정 개인(단체)의 홍보성 글인 경우
- 7. 타인의 저작물(기사, 사진 등 링크)을 무단으로 게시하여 저작권 침해에 해당하는 글
- 8. 범죄와 관련있거나 범죄를 유도하는 행위 및 관련 내용을 게시한 경우
- 9. 공인이나 특정이슈와 관련된 당사자 및 당사자의 주변인, 지인 등을 가장 또는 사칭하여 글을 게시하는 경우
- 10. 해당 기사나 게시글의 내용과 관련없는 특정 의견, 주장, 정보 등을 게시하는 경우
- 11. 동일한 제목, 내용의 글 또는 일부분만 변경해서 글을 반복 게재하는 경우
- 12. 기타 관계법령에 위배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 13. 수사기관 등의 공식적인 요청이 있는 경우
정책 NOW, MY 맞춤뉴스
정책 NOW
인기, 최신, 오늘의 영상 , 오늘의 사진
인기 뉴스
-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으로 통신비·주유비도 결제 가능
-
중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 한시 시행…"실질적 내수 진작 기대"
-
"건설현장 불법 하도급 뿌리 뽑는다"…정부, 50일간 강력 단속
-
영화에 이어 공연·전시도 저렴하게…8일부터 할인권 210만 장 배포
-
소비쿠폰, 골목상권에 활기…"전통시장 분위기가 확 바뀌었습니다"
-
'광복 80년' 전야제, 경복궁서 케이팝 등 문화로 빛 밝힌다
-
이 대통령 "포스코이앤씨 건설면허취소 등 방안 찾아 보고" 지시
-
연말까지 '소비 이어달리기'…8월 숙박, 9월 여행 등 쿠폰 대량 푼다
-
모바일 신분증 하나로 병원, 은행, 영화관 다~ 가능!
-
내년 최저임금 '시간급 1만 320원'…17년 만에 노사 합의
최신 뉴스
- 2025년도 인공지능(AI) 챔피언을 가릴 무대, 혁신을 향한 100가지 도전의 막이 오르다!
- '25년 8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자 선정
- 우리나라 차세대 보안리더, 세계 최고 국제해킹대회에서 실력 입증
- 세계적(글로벌) 선도 연구기관과 공동기술개발(R&D) 추진
- 의료요양 통합돌봄 추진을 위해 부처 역량 집중
- [보도설명] KAIST 차기 총장 공모 재개 지연 관련(디지털타임스)
-
영상
이온음료, 물처럼 많이 마셔도 될까?
- 대변인 정례 e-브리핑
- 전국 중학생 대상 '제2회 기후변화과학 퀴즈대회' 성공리에 마쳐
- "제11회 쌀의 날(8월 18일)" 행사 개최 쌀의 우수성을 알리고 소비촉진 나선다